[원제] Sin and Grace in Christian Counseling
죄에 대한 건전한 교리는 우리를 자유롭게 해준다. 왜냐하면 우리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영적이고 심리적인 갈망아 닿아있는 놀라운 은혜의 현장으로 우리를 인도해 주기 때문이다.
이 책은 죄와 은혜에 대한 기독교적 견해가 기독교상담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를 탐구하고 있다. 제1장에서는 상담자가 내담자를 상담할 때, 죄의 문제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가에 대해서 서로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성경적 상담과 기독교상담 간의 견해 차이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불일치의 대부분은 죄와 은혜라는 분리할 수 없는 기독교교리와 성경적 상담 간에 오해를 반영해주는 것이다. 제2장에서는 어거스틴(Augustin)의 관점에서 보는 죄의 견해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 모두는 혼란한 세대 속에서 함꼐 하고 있기 때문에 나는 기독교상담자가 죄에 대한 어거스틴의 관점을 공감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제3장에서는 하나님의 은혜(일반은총과 특별은총)에 대해서 심도있게 고찰해보았다. 만일 상담이 자신에 대한 발견과 회복의 과정이라면 은혜는 내담자가 그의 삶에 숨겨진 부분들을 돌아보는데 충분히 안전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수적인 요소이다. 제4장에서는 죄와 은혜를 함께 다루는 중요성에 대해 심리학적, 신학적, 영적 측면에서 세 가지 유익한 점을 다루었따. 마지막 장에서는 죄와 은혜를 통합적 상담 관점에서 고찰했는데 이는 나와 클라크 캠벨이 최근에 IVP출판사에서 출간한 다른 저서에서 이미 언급한 것으로서 상담에 대한 다차원적인 접근이다. 통합적 상담은 세 가지 중재 영역에 위치하는데 그것은 기능적, 구조적, 관계적이다. 이 중재 영역은 각각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특별한 면과 관련되어 있다. 또한 그들 각각은 기독교상담에서 우리가 죄와 은혜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해서 독특하고도 미묘한 차이를 포함하고 있다.
기독교상담자들은 죄와 은혜의 교리에 대해서 양분되어 있는데 이는 매우 안타깝고도 불필요한 일이다. 나는 이 작은 책이 기독교신앙의 핵심적인 주제를 재고하는 촉진제가 되기를 바라고, 또한 어떻게 하면 교리가 영혼돌봄 사역에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지에 대해 심사숙고하게 되기를 바란다. 죄에 대한 건전한 교리는 우리를 자유롭게 해준다. 왜냐하면 우리의 가장 깊은 곳에 있는 영적이고 심리적인 갈망에 닿아있는 놀라운 은혜의 현장으로 우리를 인도해주기 때문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지은이 ┃ 마크 R. 맥민 Mark R. McMinn
‧ Lewis and Clark College (B.A.)
‧ Vanderbilt University (임상심리전공, Ph.D.)
‧ 미국 상담전문가협회 (ABPP) 임상심리전문가
‧ 미국 심리학회 (APA) 임원 (편집장)
‧ Wheaton College 심리학 교수
‧ 현, George Fox University 심리학 교수
- 저서 -
‧ 심리학, 신학, 영성이 하나 된 기독교상담
‧ 당신의 숨은 반쪽
‧ 곤경 속에 처한 그리스도인들
‧ 통제할 수 없는 욕구들을 처리하는 방법
‧ 기독교상담과 인지요법
‧ 영혼돌봄의 상담학
옮긴이 ┃ 전요섭
‧ 성결대학교 (B.Th.)
‧ 미국 Oral Roberts University (목회상담전공, D.Min)
‧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Ed.M.)
‧ 단국대학교대학원 (상담심리전공, Ed.D.)
‧ 성결대학교 기독교상담학 주임교수
옮긴이 ┃ 박성은
‧ 서울여자대학교 (B.A.)
‧ 캐나다 Trinity Western University
‧ 미국 Oral Roberts University (기독교상담전공, M.A.)
‧ 연세대학교대학원(기독교상담전공, Ph.D.)
‧ 성결대학교 기독교상담학 외래교수
추천의 글
기독교상담자들을 분석해 보면 신학적으로는 정통하지만 임상적으로는 부족하거나, 임상적으로 정통하지만 신학적으로는 부족한 경향이 있다. 맥민은 이런 양자택일의 모델에서 벗어나서 어떻게 신학적으로 학식이 있으면서 임상적으로 완전할 수 있는지를 우리에게 가르쳐준다.
_ 제임스 N. 셀스 박사 리전트대학교 교수, 상담교육 및 수련감독 담당, 박사과정 책임자
본서는 죄와 은혜에 대해서 복음주의 입장에서 우리에게 분명한 안식을 갖도록 하는 책이므로 아주 유익하리라고 믿고 있다. 따라서 목회자, 교사 또한 교회에서 상담사역을 담당하는 분들이 꼭 읽어야 할 책으로 사료되어 기쁘게 추천한다.
_ 한숙자 박사 한영신학대학교 기독교상담학 교수, 한국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회 회장
어떤 상담자는 지나치게 죄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고, 어떤 상담자는 지나치게 은혜에만 초점을 맞추는 모습들을 볼 수 있다. 바로 이런 고민에 대해서 미국에서 널리 알려진 마크 맥민이 이를 해결하고자 『죄와 은혜의 기독교상담학』이라는 책을 쓰게 된 것은 복음주의 기독교상담학의 입장에서는 매우 반가운 일이 아닐 수 없다.
_ 김준수 박사 아세아연합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기독교상담학과 교수
목차
‧ 추천사
‧ 저자 서문
‧ 역자 서문
‧ 감사의 글
제1장 기독교상담학의 분류: 죄에 의한 분류
제2장 죄와 은혜: 죄의 무게
제3장 은혜의 치유하는 능력
제4장 은혜를 유지하는 세 가지 관점
제5장 통합적 상담에서 죄와 은혜
제6장 기능적 영역에서 죄와 은혜
제7장 구조적 영역에서 죄와 은혜
제8장 관계적 영역에서 죄와 은혜
‧ 참고문헌
‧ 인명색인
‧ 주제색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