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김중호
크리스찬치유상담연구원 원장,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
박선영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백정미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유상희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이유상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임종환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정푸름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채유경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치유상담과 영성치유수련 (치유상담의 선구자 정태기 박사)
저: 김중호 외 7명 발행일: 2025-04-11 · 동연 규격: 173*235 · 384쪽
|
|||
|
|||
|
|||
원초적인 나를 만나기
단순한 이론이나 심리 기법을 넘어서, 삶의 현장에서 생생하게 살아 움직이는 ‘치유상담’의 실천과 ‘영성치유’를 다룬 책이다. 엄마/아빠 테라피, 춤으로 마음을 치유하기(춤동작치료), 집단상담과 리더 연구, 영성치유 집단과 현상학, 노래치유, 비대면 영성치유 등 다양한 사례와 영성치유의 적용 방법을 따라 할 수 있게끔 친절하게 안내한다. 이 책의 의의는 읽는 이들에게 현대인의 불치병인 마음의 병과 부정적 정서인 우울, 분노, 가정폭력, 성폭력, 두려움 등을 다스릴 수 있게 도와주고 원인을 이해하는 것에 있다. 치유상담과 영성치유를 평생 삶에 적용하면서 산, 치유상담의 선구자 정태기의 학문적 유산과 인격적인 가르침의 집대성인 영성치유수련을 통해서 영과 정신이 바뀌어지고, 인간관계가 재정비되는 등 수많은 아픔을 치료할 수 있다. 상담심리 등 관련 전문가들에게 필요한 전문적인 내용과 치유가 절실한 일반인에게 필요한 실용서를 아우르는 책이다. 정태기 박사와 그의 제자들이 28년 동안, 171회, 26,033명을 치유한 내용과 그 사례를 모두 담은 선물과도 같은 책이다. 저자 및 역자 소개
지은이 ┃
김중호 크리스찬치유상담연구원 원장,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명예교수 박선영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백정미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유상희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이유상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임종환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정푸름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채유경 치유상담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 교수 추천의 글
목차
축사
발간사 동산 정태기 이사장/명예총장 1부╻동산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 정태기 박사 대담 _ 이유상 동산의 소리 1 _ 어린 시절 상처와 내면의 아픔 동산의 소리 2 _ 부모님의 갈등을 경험했던 유아기 동산의 소리 3 _ 치유 상담 공부와 내면 치유 사역 동산의 소리 4 _ 공동체 경험과 치유공동체 형성 동산의 소리 5 _ 상처를 치유하면 큰 자원이 된다 동산의 소리 6 _ 내면의 상처 치유와 자유, 해방의 경험 동산의 소리 7 _ 전인적 치유와 인간관계의 회복 동산의 소리 8 _ 영성치유수련은 전인적 회복을 추구 동산의 소리 9 _ 영성치유수련 프로그램 동산의 소리 10 _ 영성치유수련의 Leader와 Co-Leader 동산의 소리 11 _ 치유상담연구원을 설립과 내적 치유 동산의 소리 12 _ 소록도의 박상천 권찰과의 만남 동산의 소리 13 _ 공동번역성경 읽기와 부끄럼 없이 살기 동산의 소리 14 _ 내 삶에 영향을 준 사람들 그리고 아내 2부╻ 치유상담의 초석, 영성치유수련 김중호╻ 엄마/아빠 테라피의 이론과 치유작업의 실제 I. 들어가는 말 II. 논의의 개요 III. 성격 형성의 못자리 IV. 정신병리의 근원적 배경 V. 내적 대상: 치유작업의 대상 VI. 임상적 치유작업 (1) ― 타겟 이미지 VII. 임상적 치유작업 (2) ― 신체감각과 신체경험 VIII. 임상적 치유작업 (3) ― 엄마, 아빠 부르기 IX. 과장하기와 내성영역의 확장 X. 나가는 말 박선영╻ 영성을 춤추다 I. 들어가는 말 II. 춤으로 마음을 치유하다 1. 치유를 위해 인류가 선택한 춤 2. 몸과 움직임 3. 몸동작과 영성 4. 춤동작치료 5. 집단 춤동작치료의 주요 목표 III. 영성수련에서의 춤동작치료 1. 치유를 위한 마음열기 2. 리듬으로 함께하는 몸 3. 나는 당신의 편이예요 4. 더 큰 존재를 만나는 시간 IV. 나가는 말 백정미╻ 집단상담 리더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정태기의 영성치유 소집단 리더 경험 연구 I. 들어가는 말 II. 선행 연구 1. 집단상담자의 리더 역할 2. 정태기의 영성치유 집단 III. 연구 방법 1. 연구 참여자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신뢰도 IV. 연구 결과 1. 영성치유 집단에서 소집단 경험 2. 집단 리더의 역할 3. 집단 리더자 경험 4. 집단 리더됨의 과정 V. 결론 및 논의 유상희╻ 정태기의 영성치유 집단에 나타난 치유의 의미와 경험 I. 들어가는 말 II. 정태기의 영성치유 집단 1. 정태기의 치유에 대한 관점 2. 정태기의 영성치유 집단 III. 연구 방법 1. 현상학적 연구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4. 연구의 신뢰성 IV. 연구 결과 1. 치유의 주제들 2. 치유를 돕는 경험들 3. 치유의 의미 4. 지속되는 치유의 여정 5. 치유 후 변화 6. 남아있는 치유 V. 결론 및 제언 임종환╻ 영성치유수련에서 노래치유 경험 연구 I. 들어가는 말 II. 음악치료의 배경과 이론 1. 음악치료의 배경 및 이해 2. 음악치료의 접근법 3. 치료적 노래 부르기 관련 연구 III. 정태기 박사의 영성수련과 노래치유 1. 정태기 영성수련의 역사 2. 영성수련의 참여자 3. 영성수련 주요 프로그램과 노래치유 IV. 노래치유 프로그램 모델 개발 V. 나가는 말 정푸름╻ ‘영성치유수련’ 집단상담 모델에 나타난 영성과 치유의 상관관계 연구 I. 서론 II. 정태기의 “치유상담” III. ‘영성치유수련’ 1. 형식 2. 구조와 내용 3. 효과 IV. 영성 V. 치유 VI. 결론 채유경╻ 비대면 영성치유 집단상담이 영성, 개별성-관계성, 자기가치감 및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I. 서론 II. 방법 1. 연구 대상 및 설계 2. 프로그램 구성 3. 조사 도구 4. 자료 분석 III. 결과 1. 집단 간 사전 동질성 검증 2. 영성치유 집단상담이 영성에 미치는 효과 3. 영성치유 집단상담이 개별성-관계성에 미치는 효과 4. 영성치유 집단상담이 자기가치감에 미치는 효과 5. 영성치유 집단상담이 부정 정서인 우울, 분노, 화병에 미치는 효과 6. 집단상담 효과 요인 분석 IV. 논의 책 속으로
엄마/아빠 테라피의 실제적인 임상과정에서 활용되고 있는 기법은 언급한 것처럼 몇 가지의 방법들이 병합된 통합적인 접근이다. 첫째는 안구운동 둔감화 재처리에서 치유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타겟 이미지(target image)에 주목하는 것이고, 둘째는 소매틱 경험치료에서 신체에 축적되어 있는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하여 도입되고 있는 신체감각 알아차리기(awareness)와 신체반응 경험하기(experiencing)에 의식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며, 셋째는 프라이멀 절규치료에서 억압된 감정을 정화하고 치료하기 위해 활용되고 있는 소리지르기(screaming) 작업을 능동적으로 하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이런 세 가지의 작업이 동시에 함께 이뤄진다는 점이다. 즉, 세 가지의 작업은 시간적 간격을 둔 별도의 작업이 아니라 동시간적 작업이다. 따라서 필자는 이것을 ‘3중 작업’(triple work)이라고 부르고 싶다. 이제 3중 작업의 기법들에 대해서 하나씩 그 구체적인 과정과 절차를 알아본다.
〈김중호 엄마/아빠 테라피의 이론과 치유작업의 실제〉 중에서 예술치료의 하나인 춤동작치료(Dance/Movement Therapy)는 몸과 마음이 서로 연관되어 있으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는 유기적인 체계를 갖고 있으며, 개인의 내면, 대인관계 그리고 초월적 영역에서 감각, 지각, 정서, 인지의 통합이 발달을 촉진한다고 믿는다. 미국무용치료협회(American Dance Therapy Association)는 춤동작치료를 개인의 감정적, 인지적, 사회적, 신체적 통합을 촉진하는 과정에서 움직임 동작을 심리 치료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라 정의한다. 춤동작치료에서는 본질적으로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음악 리듬에 운동 감각적으로 반응하도록 돕는다. 대부분의 사람은 리듬이 있는 음악을 그냥 듣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좀 더 능동적으로 반응하며, 음악이 흘러나오면 인간의 몸은 리듬에 따라 움직이고 싶은 욕구를 느낀다. 〈박선영 영성을 춤추다〉 중에서 첫 번째 노래는 누구나 쉽게 부를 수 있는 대중적인 동요를 선정했다. 진행자가 <겨울나무>를 부르자고 멘트를 하면 반주팀에서 전주가 시작된다. 1. 나무야 나무야 겨울나무야 눈 쌓인 응달에 외로이 서서 아무도 찾지 않는 추운 겨울을 바람 따라 휘파람만 불고 있느냐 2. 평생을 살아 봐도 늘 한자리 넓은 세상 얘기도 바람께 듣고 꽃 피던 봄 여름 생각하면서 나무는 휘파람만 불고 있구나 (이원수 작사, 정세문 작곡, 1957, 초등교과서에 수록됨) 대중들에게 잘 알려진 동요인 <겨울나무>는 참여자들이 자연스럽게 노래를 따라 부르게 되고, 가사를 음미하면서 감정이입을 하게 된다. 다른 참여자들과도 집단의 동질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1절에 ‘겨울나무’, ‘응달’, ‘외로이 서서’, ‘아무도 찾지 않는’, ‘추운 겨울’ 등의 가사는 참여자 자신과 심리적 동일시를 경험하게 한다. 〈임종환 영성치유수련에서 노래치료 경험 연구〉 중에서 사례에서 보듯이 관계적인 측면으로는 인간적인 연결감이 깊어졌고 타인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게 되었으며, 영적인 변화로는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주시는 수용적인 하나님을 경험하게 되었고 기존의 하나님 이해에서 훨씬 더 확장된 하나님으로 하나님 이미지를 성장 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사례 7> 우리는 온전히 한마음이 되어 자기 자신과 다른 사람의 아픔을 싸안고 씨름했다. 고 2때 실종된 아버지를 마음에서 떠나보내는 의식을 함께 치러 주었으며, 아버지의 폭력에 진저리를 치면서도 아들 앞에서 아버지를 꼭 닮은 자신의 모습에 오열하는 아픔을 함께 공유하기도 했다. 다양한 아픔이 쏟아져 나왔고, 위로를 받았고, 하나씩 하나씩 치유의 가닥을 붙잡아 갔다. 모든 의식이 끝나자 우리는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서로 껴안고 형제의 인사를 나누었다. 〈정푸름 ‘영성치유수련’ 집단상담 모델에 나타난 영성과 치유의 상관관계 연구〉 중에서 본 연구의 대상은 “제151회 영성치유 집단상담” 프로그램 공지를 통해 지원자를 모집하였다. 전체 178명 중에서 연구에 대한 설명을 통해 대면과 비대면 참여를 선택하도록 하였으며, 비대면으로 진행하는 영성치유 집단에 지원한 전체 77명 중 사전-사후 조사에 응답한 대상자 62명을 실험집단에 배정하였다. 대면 집단 참여를 지원한 101명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사전-사후 검사에 충실히 응답한 대상자 61명은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통제집단으로 분류된 61명을 포함한 대면 집단 참여 지원자들은 연구가 종료된 후 동일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참여자들에 대한 성별과 연령에 따른 특성은 <표 1>과 같다. 〈채유경 비대면 영성치유 집단상담이 영성, 개별성-관계성, 자기가치감 및 부정적 정서에 미치는 영향〉 중에서 관련 이미지
표지 ![]() 본문 ![]() 본문 ![]() 본문 ![]() 뒤표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