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은이 ┃ 에마뉘엘 레비나스 (Emmanuel Lévinas, 1906-1995)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1906년 1월 리투아니아의 카우나스(Kaunas)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리투아니아와 러시아에서 중등교육과정을 받고, 1923년에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 들어갔다. 1928년부터 1929년 사이에는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후설 및 하이데거와 교류하며 현상학을 배우고, 1930년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30년에 프랑스인으로 귀화하고, 1939년 러시아어 통역장교로 2차대전에 참전했다가 포로가 되었으며, 종전과 함께 풀려났다. 그후 동방 이스라엘 고등사범학교(l’Ecole normale israélite orientale) 교장과 철학 교사를 역임한다. 이후 푸아티에 대학교(l’Université de Poitier), 파리-낭테르 대학교(Paris-Nanterre), 소르본느 대학교(la Sorbonne)에서 교수 생활을 했다. 은퇴 후에도 강연 및 저술 활동을 활발히 하였고, 1995년 크리스마스에 눈을 감았다.
우리 말로 번역된 저술로는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1930), 『전체성과 무한』(1961), 『우리 사이』(1991), 『신, 죽음 그리고 시간』(1995, 자크 롤랑 엮음), 『타자성과 초월』(1995, 이상 그린비 역간), 『탈출에 관해서』(1935, 지만지 역간), 『존재에서 존재자로』(1947, 민음사 역간), 『시간과 타자』(1949, 문예출판사 역간), 『존재와 다르게』(1974, 인간사랑 역간) 등이 있다.
옮긴이 ┃ 김동규
총신대학교에서 신학을 공부하고, 서강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폴 리쾨르 연구로 석사 학위를, 마리옹과 리쾨르의 주체 물음에 관한 연구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또한 벨기에 루뱅 대학교(KU Leuven) 신학&종교학과에서 마리옹의 계시 현상에 관한 연구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옮긴 책으로는 피에르 테브나즈의 『현상학이란 무엇인가』(그린비), 에마뉘엘 레비나스의 『탈출에 관해서』(지만지),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그린비), 폴 리쾨르의 『해석에 대하여: 프로이트에 관한 시론』(공역, 인간사랑), 재커리 심슨의 『예술로서의 삶』(공역, 갈무리), 메롤드 웨스트팔의 『교회를 위한 철학적 해석학: 누구의 공동체, 어떤 해석?』(도서출판 100), 마리옹의 『과잉에 관하여: 포화된 현상에 관한 연구』(그린비) 등이 있다. 지은 책으로는 『미술은 철학의 눈이다』(공저, 문학과지성사), 『프랑스 철학의 위대한 시절』(공저, 반비), 『우리 시대의 그리스도교 사상가들』(공저, 도서출판 100), 『선물과 신비: 장-뤽 마리옹의 신-담론』(서강대학교출판부)이 있고, 이 외 다수의 연구 논문이 있다. 현재 서강대학교 생명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인문학&신학연구소 에라스무스의 운영위원으로 일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학교(VU Amsterdam) 종교&신학과 박사 과정에서 현대 유럽 대륙철학과 종교철학, 종교 간 대화 문제 등을 연구하고 있다.